Go to KNU
INQUIRY TOP

RESOUR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EDUCATION FINANCE

이슈페이퍼 Vol.07 | 2025 IMD 국가경쟁력과 한국의 교육경쟁력 분석

Writer
교육연구소
Date
25-08-25
Hits
8
59506_2812219_1748409338311041222.png




발행일 : 2025년 7월 31일
107_1619503142.png?o28onsvk
59506_2812219_1748395035728091524.jpg
발행호 : 25-7호
104091_2533939_1732778508658892348.png



2025 IMD 국가경쟁력과 한국의 교육경쟁력 분석



- 저자 : 최현정(강원대학교), 남수경(강원대학교) -







  2025년 6월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발표한 2025 세계경쟁력연감(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을 토대로, 한국을 포함하여 G7(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국가 등 69개국의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자 함.



  특히, ‘교육’ 부문에 초점을 두고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의 영역별 경쟁력 수준을 분석하여 한국 교육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2025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의 교육은 여전히 양적 성장 중심의 구조에 머물러 있으며, 질적 고도화와 글로벌 연계성 강화 없이는 향후 국가경쟁력 확보가 어렵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음.


 
59506_2926473_1754022807569061889.png
2025 세부지표별 교육경쟁력 순위
【 핵심 정책제언 】






  • 우리나라는 여전히 GDP 대비 공교육비 및 1인당 교육비 지표에서 중하위권로 공교육 재정투자의 확대가 시급함.


  • 우리나라의 영어 유창성과 언어교육 부문 모두 낮은 평가를 받았으므로, 글로벌 언어역량과 디지털 학습기반 강화가 필요함.


  • 우리나라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가 낮은 순위를 기록하며 한국 교육의 폐쇄성과 국제교류 부족이 구조적 한계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국제적 개방성과 유학생 친화 정책의 확대가 필요함. 


  • 우리나라의 학문적 성과 중심의 교육구조는 노동시장과의 괴리를 심화시키고 있으므로 교육성과의 사회적 환류와 실무 연계성을 강화해야 함.

     
107_1635150394.png
59506_2926473_1753947584960446737.png
107_1619503142.png
homepage2-snsC.pngyoutube-snsC.png
발신자 강원대학교 교육연구소
이메일 ier@kangwon.ac.kr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강원대학교 미래관 807호, 808호 / 전화번호 033-250-7365
수신거부 Unsubscribe
stibee

이 메일은 스티비로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