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구소
Toggle navigation
연구소 소개
설립목적
연혁
운영규정
조직 및 구성
오시는 길
교육재정
사업 소개
교육&재정 e-뉴스
교육&재정 웹진
교육재정 자료실
콜로키엄 자료실
행사 및 동정
지역교육협력
대학원 소개
교수진 소개
학사공지
지역&교육협력 웹진
지역교육협력 자료실
행사 및 동정
미래교육
KNU 미래교육센터 소개
사업 소개
미래교육센터 공지사항
미래교육 뉴스레터
미래교육센터 자료실
행사 및 동정
게시판
연구소 일정
공지사항
일반 자료실
교육&재정 e-뉴스
Home
교육재정
교육&재정 e-뉴스
교육재정 e-뉴스 2월 1호(제76호)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5-02-04 14:43:09
조회수
30
🔆2025년 2월 4일(화) | Vol. 1(제76호)
📬 유·초·중등교육
📌
저소득층 ‘미소금융 교육비 대출’ 급증
학부모가 부담하는 월 평균 사교육비가
정부 통계보다 2배가량 많은 1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 정부가 부처 대표 성과 지표로 사교육비를 꼽고 올해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통계부터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 이런 추세 속에 저소득층의 교육비 대출에서 사교육을 허용하자 대출이 60배가량 폭증.
📌 미취학 아동 '학원비'도 만만찮다... 만 6세 평균 25만 5000원
육아정책연구소 2018년부터 2023년까지 6년에 걸친 유아기 시간제 사교육 실태를 파악. 2023년 기준 취학 전 아동 41.1%가 시간제 사교육을 이용하고 있었고, 주당 이용 시간은 3.2시간이었다. 월평균 사교육 이용 비용은 19만 원이었으며 취학 직전인 만 6세는 대부분 아동이 사교육을 이용.
📬 고등교육
📌
사립대 교육여건 투자 2011년 대비 635억원 감소…"재정확보 전략 필요"
전국 사립대학의 교육여건 투자 규모가 10년 전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립대학 운영손익과 교육비 현황'에 따르면 사립대 교육여건 투자규모는 2023년 1조 7044억 원으로, 2011년 1조 7679억 원보다 635억 원 감소.
📌 대교협 "대학 경쟁력 높이려면 고등교육특별회계 연장·확대해야"
고특회계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재원이었던 국세 교육세의 일부를 고등교육으로 돌리는 재원 조달 방식으로 2023년 도입해 올해 일몰을 앞두고 있어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려면 이 같은 재정 지원을 이어가야 한다는 게 연구소의 주장.
📬 평생교육
📌 교육부, 2월부터 '문해력 자가진단 서비스' 제공
온라인 기초 문해능력 자가진단 서비스를 개시, 찾아가는 디지털 문해교육 '한글햇살버스' 운영 등 문해교육 지원. 비문해·저학력 성인에게 문해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06년부터 시작된 사업.
📌 성인학습자 지원 사업 수혜자 체감은 “범부처 평생교육 통합 사업 필요”
한국교육개발원 ‘4050 세대 중장년 교육요구 분석’ 보고서 발표. 평균 퇴직 연령 49.3세, 희망 퇴직 연령 73세 ‘간극 줄이기 관건’. 연구진 ‘(가칭) 4050 뉴스타트’ 제시… 부처별 지원 정책 통합 관리.
📊
대학등록금 인상
올해 학부 등록금을 올린 일반대학이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증가
일부 대학은 인상률이 5%를 넘기도
학생들의 부담이 우려되는 가운데, 대학 재정의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
출처 : EBS뉴스
https://www.youtube.com/@EBSNewsG
<경향신문> “커피값이면 부담 가능”? 60여개 대학 등록금 인상 학생들, 설문조사·간담회로 반발
<노컷뉴스> 전국 56개 대학, '등록금 인상' 결정…지난해에는 26곳 인상
<노컷뉴스> 광주전남 일부 사립대 등록금 5% 안팎 인상…10여 년만
<뉴스핌> 등록금 인상 대학 절반이 법정 최대치까지 ↑…국·공립대도 5%대
<뉴시스> "버틸 재간 없다" 울산대 등록금 16년 만에 인상
<동아일보> 대학 등록금 동결 둑, 14년 만에 터졌다…최대 80곳 인상 전망
<대전일보> "재정 압박에…" 충청권 대학 '등록금 인상' 대열 잇따라 합류
<문화일보> 주요 대학 등록금 5% 전후 인상, 대학 규제 혁파 계기돼야[사설]
<서울경제> "엄마 등록금 '700만원'이래"…등골 빠지면서 겨우 대학 보낸 부모들 '한숨'
<아시아경제> "울 복덩이 장하다" 대학 붙어 축하했는데…등록금 고지서에 부모님 '한숨 푹'
<연합뉴스> 울산지역 대학 등록금 줄인상…울산대 17년만에 4.99%↑
<울산매일> UNIST 5.49% 울산대 4.9%···울산 대학도 줄줄이 등록금 인상
<이데일리> ‘눈치 보기’ 끝났다…대학 등록금 인상 러시
<이투데이> 대학 등록금 인상 행렬에...“정부 대학 재정 지원 늘려야”
<조선에듀> 전국 대학 4곳 중 1곳, 올해 ‘등록금 인상’ 결정
<조선일보> 성균관대 14년만에 등록금 4.9% 올려...사립대 재정 한계에 줄줄이 인상
<충청매일> "십수년 동결 더는 못 버텨" 충북 대학들 등록금 인상 봇물
<헤럴드경제> “등록금 인상, 교수 강의 좋아지나요?” 대학가는 논쟁중
<METRO> 등록금 동결 기조 무너졌다…고려대·연세대 등 대학 30% ‘인상’ 확정
강원대학교 교육연구소
발신자
ier@kangwon.ac.kr
주소 (24341)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효자2동 192-1), 강원대학교 미래관 807호
전화번호 033-250-7365
이 메일은 스티비로 만들었습니다
목록
댓글 (
0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등록
×
비밀번호 입력
×
비밀번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