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구소
Toggle navigation
연구소 소개
설립목적
연혁
운영규정
조직 및 구성
오시는 길
교육재정
사업 소개
교육&재정 e-뉴스
교육&재정 웹진
교육재정 자료실
콜로키엄 자료실
행사 및 동정
지역교육협력
대학원 소개
교수진 소개
학사공지
지역&교육협력 웹진
지역교육협력 자료실
행사 및 동정
미래교육
KNU 미래교육센터 소개
사업 소개
미래교육센터 공지사항
미래교육 뉴스레터
미래교육센터 자료실
행사 및 동정
게시판
연구소 일정
공지사항
일반 자료실
교육&재정 e-뉴스
Home
교육재정
교육&재정 e-뉴스
교육재정 e-뉴스 9월 2호(제67호)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4-09-23 12:02:42
조회수
1311
🔆2024년 9월 23일(월) | Vol. 2(제67호)
📬 유·초·중등교육
📌 뭇매 맞는 ‘교육교부금’에 교육당국, 교육재정 대폭 ‘손질’
교육재정을 중장기적으로 대폭 개선하고자 국가교육위원회, ‘교육재정 개선방안 연구’ 용역 발주. 교육교부금과 유아, 평생교육 특별회계 등 교육재정 전반의 개선과제 도출, 학령인구 감소 시나리오별 교육재정 수요 분석과 규모를 추계.
📌 올해 말 교육재정 2.6조 일몰…교육부, 교육청에 긴축 주문
교육부, 내년도 '교육비 특별회계 편성기준' 통해. 교육청들에 "교육 사업 제로베이스에서 재검토". 지방교육세 중 담배소비세, 무상교육 2.6조 일몰. 늘봄학교, 유보통합, AI교과서 등 쓸 곳은 많아져.
📬 고등교육
📌
대졸 청년 OECD 1위 한국…'노는 대졸 청년' 비율도 최상위권
우리나라 청년층의 대학 교육 이수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이지만, 비경제활동인구 OECD 4위. 슐레허 국장 "한국 고등교육이 모든 학생들에게 최상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는가?"
📌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 올해 연체금 벌써 1천억 넘었다
정부 일반상환 학자금대출 자료 분석. 지난해 제 때 못 갚은 금액 2.8%…1000억원 넘어. 올해 7월 '취업 후 상환' 대출 대상, 이자 면제 확대. 재학하면서도 빚 갚아야 하는 일반 상환도 부담 커.
📬 평생교육
📌 서울시, 9개 전문대와 ‘중장년 평생직업교육 지원위해’ 협력
서울시가 9개 전문대학과 협력해 중장년 평생직업교육을 지원. 중장년의 원활한 직업전환 및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서울마이칼리지 사업 업무협약’. 지·산·학의 지속 가능한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
📌 평생교육바우처, 3년간 신청자 ‘절반’만 실제 이용
취약계층의 교육비를 지원하는 ‘평생교육바우처’의 지난 3년간 신청자 가운데, 실제 이용자는 절반 수준에 그친 것으로 파악돼.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수요에 맞는 예산 확대와 수요자 실태조사 등 철저한 운영 및 관리가 이뤄져야.
📊 2025학년도 학자금 지원 및 제한 대학 발표
교육부는 학자금지원제도심의위원회(위원장 교육부차관 오석환)의 심의를 거쳐 2025학년도에 적용되는 학자금(국가장학금 1유형과 학자금대출) 지원 및 제한 대학 총 313교(일반대 184교, 전문대 129교) 명단을 발표.
일부 변동 가능성 있는 대학(18교)에 대해서는 2024년 12월에 최종 확정 예정
출처 : 교육부
https://www.moe.go.kr/main.do?s=moe
2025학년도 학자금 지원 및 제한 대학 보도자료
🗞️ 주요 기사
<뉴시스> 대구예대·중앙승가대·송호대, 내년 국가장학금·학자금대출 중단
<베리타스알파> '2025수시 비상' 대구예대 중앙승가대 송호대 3개교 내년 국가장학금/학자금대출 제한.. '새 평가체제 첫 적용'
<아시아경제> 대구예술대 등 3개대학 내년 학자금 대출 제한…18개교는 '미정'
<이데일리> 대구예대 등 3곳 내년 학자금대출 제한…18곳은 하반기에 재평가
<피앤피뉴스> 대구예술대, 중앙승가대, 송호대 등 3곳 대출 제한...‘2025학년도 학자금 지원 및 제한 대학’ 발표
<한국교육신문> 2025학년도 국가장학금Ⅰ·학자금대출 제한 대학 3개교
<한국대학신문> 대구예대·중앙승가대·송호대, 2025학년도 학자금 대출 제한 대학 지정
<헤럴드경제> 내년 309개大 학자금 지원키로…18곳은 연말 검증 문턱 넘어야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 2024 결과 발표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15,858로 OECD 평균 상회
청년층(만 25~34세) 고등교육 이수율 69.7%로 OECD 국가 중 1위
교육 단계별 상대적 임금 격차 전년 대비 감소
출처 : 교육부
https://www.moe.go.kr/main.do?s=moe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 2024 결과 보도자료
출처 : KEDI TV《한국교육개발원》
https://www.youtube.com/@KEDI
🗞️ 주요 기사
<교육플러스>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 OECD 평균 상회…초임 교사 급여 OECD 평균보다 낮아
<농민신문> 韓, 청년층 ‘대졸 이상’ 비율 OECD 1위…고용률은 평균 미만
<아시아투데이> 학생 1인당 공교육비 OECD 67% 수준…대학교육비는 한참 밑돌아
<연합뉴스> 대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 OECD 67% 수준…초중등은 평균 위(종합)
<이데일리> MZ교사들 떠나는 이유?…초임교사 급여 OECD 82~87% 수준
<피앤피뉴스> 교사 1인당 학생 수 줄고, 학급당 학생 수는 OECD 평균보다 여전히 높아...
<한국경제>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액 OECD 평균 넘어
<한국교육신문> ‘교육 핵심과제’ 아직 선진국 못 미쳐
<한국대학신문> 대학생 1인당 공교육비, 증가해도 OECD 평균 못미쳐…정부 지출 부족 여전
<MBC뉴스> 국공립 초임 교사 급여, OECD 평균의 80% 수준‥학급 당 학생 수는 세계 평균 웃돌아
강원대학교 교육연구소
발신자
ier@kangwon.ac.kr
주소 (24341)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효자2동 192-1), 강원대학교 미래관 807호
전화번호 033-250-7365
이 메일은 스티비로 만들었습니다
목록
댓글 (
0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등록
×
비밀번호 입력
×
비밀번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