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학교 바로가기
문의하기 TOP

자료실

KANGWO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교육재정

글로벌교육&재정 고등교육재정편 제3탄 | 영국과 호주의 대학 등록금과 학자금 지원: 보편적 소득연계 학자금대출(Income Contingent Loans) 운영 국가의 특징 고찰

작성자
교육연구소
작성일
25-08-25
조회수
19
59506_2805480_1747802646607059251.jpg
59506_2429066_1728361677435963664.jpg
59506_2685692_1741585627037926681.jpg
발행일 : 2025년 5월 21일
59506_2429066_1728361833954749394.jpg
59506_2805480_1747701521293834222.jpg
59506_2805480_1747700554662241339.jpg
[영국과 호주의 대학 등록금과 학자금 지원]

  



  전통적인 엘리트주의 고등교육체제와 다르게 정부의 재정 부담은 줄이면서 공평성(equity)과 사회 정의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가 본격적으로 고등교육 재정정책의 핵심의제가 되었고, 이러한 배경에서 1989년 호주에서 시작된 대표적인 제도가 바로 소득연계 상환 학자금 대출(Income-Contingent Repayment Loans, 이하 ICL)이다. 
  ICL은 공평하고 효과적인 고등교육 자금조달 수단으로서, ‘채무자가 상환할 수 있는 경우에만 상환하는 대출’에 집중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2009년 제도를 도입하고,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취업후 상환 학자금대출”이라는 명칭으로 ICL을 시행해 왔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보편적 ICL 운영 국가로서 영국과 호주의 대학 등록금과 학자금 지원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호주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학자금대출에 ICL을 도입한 국가이며, 영국은 대학등록금을 전적으로 후불제 형태의 보편적 ICL을 운영하는 국가이다. 이들 국가의 최근 대학 등록금 정책의 동향과 ICL 운영의 주요 특징을 정리하고, 향후 우리나라 제도의 개선 방향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Ⅰ. 영국의 대학 등록금과 ICL 정책
    1. 고등교육기관 자금 출처와 학비 모델
    2. 대학 등록금정책의 변천 과정
    3. 최근 등록금 인상 동향
    4. 학자금 지원제도
Ⅱ. 호주의 대학 등록금과 ICL 정책
    1. 고등교육재정 개요
    2. 일반대학 전공 계열별 평균 등록금(학생 교육분담금 상한액) 현황
    3. 호주 ICL제도의 주요 내용
    4. 호주 대학생 학자금 지원정책의 최근 변화 동향
Ⅲ. 종합 정리와 정책적 시사점




59506_2805480_1747717124301850198.jpg
이미지 출처 :  Study Assist, GOV.UK
59506_2429066_1728361696695511060.jpg
59506_2685692_1741585504548802220.jpg
59506_2429066_1728362295819072086.jpg
104091_1706509210.png
강원대학교 교육재정중점연구소
이메일 : ier@kangwon.ac.kr

연락처 : 033-250-7365
(2434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효자2동 192-1), 강원대학교 미래관 807호
수신거부 Unsubscribe
104091_1706509282.png
homepage2-snsC.pngyoutube-snsC.png
stibee

이 메일은 스티비로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