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학교 바로가기
문의하기 TOP

자료실

KANGWO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교육재정

글로벌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편 제4탄 | 캐나다의 지방교육재정제도

작성자
교육연구소
작성일
25-08-25
조회수
15
59506_2421186_1727678188522879637.png
59506_2429066_1728361677435963664.jpg
59506_2429066_1727857912801953649.jpg
발행 : 2024년 11월 01일
59506_2429066_1728361833954749394.jpg
59506_2459049_1729428437892044301.jpg
59506_2459049_1729428427296195277.jpg
[캐나다의 지방교육재정제도]




  캐나다의 교육재정 지원정책은 평등성(equality), 공평성(equity)을 기반으로 한 다양성(diversity) 추구를 기본원칙으로 해 왔다. 이는 그만큼 캐나다 학생 구성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2023년 토론토 교육청 기준 학생의 출신 분포를 살펴보면, 인종별로 백인이 28.5%, 남아시아인이 22.1%, 동양인이 13.6%, 흑인이 11.1%로 구성되어 있다. 집에서 영어만 쓰는 학생이 46%, 영어 외의 언어를 쓰는 학생은 54%였다. 따라서 캐나다는 평등성과 공평성의 측면에서 특수교육이나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재정지원뿐만 아니라, 캐나다가 가지는 다문화 특성을 반영한 다양성 측면 역시 교육재정 배분기준으로 중요시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장차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이 증가하고 학령인구 감소시대 외국유학생 유입 연령이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며, 학교 구성원의 다양성 속에서 교육에 대한 책임의 범위를 어디까지 하고 이를 위한 지원하기 위한 기준을 어떻게 확립할 것인지 캐나다로부터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1. 학교교육 현황
2. 교육행정체제
3. 교육재정 지원의 법적 근거와 기본원칙
4. 초・중등 교육재정의 배분기준과 지원 현황
5. 초・중등학교 교육재정 현황: 토론토 교육청 사례
6. 정책적 시사점




59506_2459049_1729577590779889628.jpg
이미지 출처 :  YOLO 글로벌 프리미엄 교육기관, CMEC(Council of Ministers of Education, Canada)
59506_2459049_1730336083827868631.jpg
59506_2459049_1730336523013333482.jpg
59506_2459049_1730335797446281269.jpg
59506_2459049_1730335802266765940.jpg
59506_2459049_1730334651573981776.jpg
  
59506_2429066_1728361696695511060.jpg?ay0pcmed
59506_2459049_1729753608102137124.jpg
59506_2459049_1729753613260163276.jpg
59506_2459049_1730253721808839726.jpg
59506_2429066_1728362295819072086.jpg
104091_1706509210.png
강원대학교 교육재정중점연구소
이메일 : ier@kangwon.ac.kr

연락처 : 033-250-7365
(2434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효자2동 192-1), 강원대학교 미래관 807호
수신거부 Unsubscribe
104091_1706509282.png
homepage2-snsC.pngyoutube-snsC.png
stibee

이 메일은 스티비로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