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학교 바로가기
문의하기 TOP

자료실

KANGWO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교육재정

글로벌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편 제3탄 | 미국의 지방교육재정제도

작성자
교육연구소
작성일
25-08-25
조회수
18
59506_2421186_1727678188522879637.png
59506_2429066_1728361677435963664.jpg
59506_2429066_1727857912801953649.jpg
발행 : 2024년 10월 25일
59506_2429066_1728361833954749394.jpg
59506_2429066_1727857921279011227.jpg
59506_2429066_1727964824751512471.jpg
[미국의 지방교육재정제도]




  우리나라는 해방 이후는 미군정기를 거쳤고, 그 이후에도 미국 유학을 다녀온 교육학자들에 의해 교육제도의 체계적 정비 전반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우리나라 지방교육제도는 미국의 영향이 근본에 자리잡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교육재정 측면에서도 미국 주정부가 학군간 형평화 교부금제도를 본격 도입한 것과 같이 우리나라 지방교육재정교부금제도 역시 지역간 교육 균형발전을 지원하는 데 가장 중요한 교육재정제도로써 기능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교육재정 확보제도라는 측면에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제도는 더욱더 중요하게 자리잡고 있다.
  최근 재정당국에서는 학령인구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내국세 일정 비율로 재원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제도의 개선 요구와 고등교육재정의 부족분을 지방교육재정교부금과 공유하자는 주장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상황에서 미국의 지방교육재정제도를 토대로 우리나라에 제도의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초・중등 교육행정 거버넌스에 대한 이해

2. 초・중등교육 현황과 교육재정

3. 초・중등교육 재정확보 제도

4. 초・중등교육 재정배분 제도

5. 초・중등교육 교육재정 운영 현황

6. 단위학교 재정 운영 현황

7. 정책적 시사점




59506_2429066_1727963034327805659.jpg
이미지 출처 :  나무위키, U.S. Department of Education
59506_2429066_1728361696695511060.jpg
59506_2429066_1729749684988663152.jpg
59506_2429066_1729749811259722404.jpg
59506_2421186_1727678912018354238.png?a3g6svhm
59506_2429066_1728362295819072086.jpg
104091_1706509210.png
강원대학교 교육재정중점연구소
이메일 : ier@kangwon.ac.kr

연락처 : 033-250-7365
(2434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효자2동 192-1), 강원대학교 미래관 807호
수신거부 Unsubscribe
104091_1706509282.png
homepage2-snsC.pngyoutube-snsC.png
stibee

이 메일은 스티비로 만들었습니다